Paul graham의 'Before the Startup' 한눈에 보기


By JD Lasicahttps://www.flickr.com/photos/jdlasica/12810378783/


#1 스키와 스타트업의 공통점-당신의 직감을 절대 믿지 마라.

 스타트업은 여러분이 스스로의 직감을 항상 믿어선 안 된다는 법칙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스키를 배우기 위해선 우리 몸의 반사적인(충동적인) 본능을 억제하는 방법을 우선 알아야만 합니다. 넘어지지 않기 위해 몸을 자꾸 뒤로 젖히려고 한다면 더 크게 다칠 것입니다.스타트업도 마찬가지입니다.

 

 여러분이 스타트업을 시작하기 전에 알아야 할 첫번째 반직관적인 요인은 스타트업을 하면서 여러분이 자신의 본능 혹은 직감을 따르는 순간 엄청난 실수들을 저지르게 될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출처-goalvanise.com>
 

#2 스타트업에서 동료를 만드는 법칙 - 네 멋대로 해라.

 하지만 스타트업을 함께 할 사람들을 고르는 문제에 관해서는 여러분의 직감을 따르셔야 합니다.여러분이 친구를 선택할 때처럼, 스타트업을 함께 할 사람들을 선택하세요.여러분이 정말 좋아하는 사람들과 일하세요. 오랫동안 당신과 알고 지낸, 그래서 그 사람에 대해 확신할 수 있는 사람과 일하세요.



                                                                                    <출처 -디시 미생갤러리>
 

#3 스타트업에 관한 전문가가 되지 마라 - 젊은 창업자들의 흔한 착각 1탄 (스타트업에서 편법은 없다)
  
 두번째 반직관적인 요인은 스타트업계에서 성공하기 위해서 스타트업의 전문가가 되는 것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어떠한 측면에서 이것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굉장히 위험합니다. 젊은 창업자들은 성공한 스타트업에 관해 연구하고 단순히 그들의 외관만을 따라 하려고 하기 때문이죠. 그들은 가장 중요한 것을 놓쳤습니다. 바로 사람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

 마크 저커버그(Mark Elliot Zuckerberg)가 스타트업의 전문가였기에 그가 성공한 것은 아닙니다. 그가 스타트업계의 완전 초짜였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그의 고객들을 완전히 이해했기 때문입니다.


By Niall Kennedyhttps://www.flickr.com/photos/niallkennedy/6176497173

 젊은 창업자들은 고객이 원하는 것은 알고 싶어하지는 않고 늘  자신들의 스타트업에 대한 성공 평가 기준이 무엇인지나 알고 싶어합니다. 젊은 창업자들이 착각하는 것 중 하나는 자금유치가 스타트업 성공판단의 가장 큰 척도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왜 창업자들은 자꾸 일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일까요. 그들이 자꾸만 편법만을 찾고 있기 때문입니다.



# 4 스타트업에 관한 전문가가 되지 마라 - 젊은 창업자들의 흔한 착각 2탄 (스타트업에서는 규칙도 없다.)

 스타트업계는 편법도 없지만 정해진 규칙도 없습니다. 세번째 반직관적인 요인은 스타트업을 시작하면 여러분이 알고 있던 정해진 방식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정해진 방식이란 기존의 정형화된 시스템 내의 부품 같은 존재로 일하면서 그 매커니즘을 활용하여 성과를 내는 것을 뜻합니다(주로 대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형태이죠).

 스타트업계에는 만들어진 시스템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스스로 새로운 시스템을 만드는 세계입니다..

                                                                                              <출처 -giphy.com>

 

#5 스타트업에 관한 환상 깨기 - 제 2의 Larry Page를 꿈꾸시나요?

 네번째 반직관적인 요인은 여러분의 상상 이상으로 스타트업은 여러분의 인생을 뒤덮어 버린다는 것입니다. 스타트업은 굉장히 큰 기회비용이 존재하는 곳입니다. Larry Page는 모든 사람들에게 선망의 대상입니다. 그러나 그의 삶의 이면에는 반대의 모습들도 많이 존재합니다. 그는 25살 때부터 자신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속도로 인생을 달리기 시작했고 지금까지 한숨 돌릴 틈도 없이 달려왔습니다.

 
 성공적인 스타트업을 갖는다는 것은 첫째, 한번 누르면 다시는 취소할 수 없는 버튼을 누르는 것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둘째 ,여러분의 인생을 완전히 변화시켜버린다는 점에서 자녀를 갖는 일과 비슷합니다. 



                                                                                        <출처 -_buzger.com

 성공적인 스타트업을 갖는다는 것에 대해 아직 감당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이 취소할 수 없는 버튼을 누르는 것을 잠시 뒤로 미루셔도 좋습니다. 

  

#6 스타트업을 위해 대학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대학이 스타트업에 대해 가르치는 것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정작 대학이 스타트업에 관해 가르치는 것은 여러분이 본질적으로 알아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여러분이 배워야 할 것은 사용자들의 니즈(Needs)입니다. 하지만 여러분의 사용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는 여러분이 직접 해보고 겪으면서 배울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을 시작하는 것은 깊이 탐색을 시작하는 것과 같습니다. 20살에는 깊은 것을 파기보다 넓은 것을 보고 배워야 합니다.

 

 여러분의 스타트업이 성공할지라도, 스타트업의 성공은 뜻밖의 삶의 기쁨들을 빼앗기도 합니다. 삶의 우연들이 우리 인생에 주는 기쁨들도 많습니다. 특히 젊은 시절엔 말이죠. 삶의 우연들은 여러분 삶의 미션으로 가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해주기도 하니까요 (스타트업을 제외하고도 말이죠). 그러한 것들을 포기하는 일은 형편없이 멍청한 일입니다.


                                                                                        <출처 -giphy.com>


#7 스타트업의 성공, 폴 그레이엄도 장담할 수 없다.

 스타트업을 시작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그렇게 어려운 일이라면 여러분은 어떻게 이 난제를 풀어나갈 것이라 자신할 수 있습니까?      저 또한 이에 관한 전문가이게 다른 전문가들이 이에 대해 얼만큼 대답해 줄 수 있는지 알고 있습니다. 답은 그들도 잘 모른다는 것입니다. 이를 확인 해 볼 수 있는 방법은 일단 한 번 해보는 밖에는 없습니다.

 

#8 훌륭한 스타트업 아이디어의 조건 1탄 - 작위적인 아이디어는 실패한다.

 다섯번째 반직관적인 요인은  훌륭한 스타트업 아이디어의 조건은 애써 생각해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아이디어를 떠올리려 상당한 노력을 들이기보다 큰 노력 없이도 아이디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생각의 구조를 변화시켜야 합니다. 너무나 무의식적으로 생각해 낸 아이디어라 이것이 스타트업에 관한 아이디어인지도 알아채기 어려울만큼.

 

 어떻게 하면 무의식적으로 스타트업 아이디어를 형성하는 생각의 구조를 조성할 수 있을까요?

첫째, 중요한 것들에 대해 많이 배우고 둘째, 여러분에게 흥미를 유발시키는 문제들에 관해서 일하고 셋째, 여러분이 좋아하며 존경하는 사람들과 함께하세요. 이는 여러분이 아이디어와 동시에 공동창립자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9 훌륭한 스타트업 아이디어의 조건 2탄 - 당신이 흥미로워 하는 것, 그것이면 충분하다.

 만약 여러분이 정말 흥미로운 문제에 관심이 있다면 그것에 관해 마음껏 해보는 것이 스타트업을 준비하는데 가장 좋은 준비 과정이며, 인생을 살아가는데도 마찬가지 일 것입니다.

 

 힌트를 드리자면, 세상 모든 흥미로운 문제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기술을 비슷한 패턴으로 펼쳐지는 무엇인가로 생각한다면, 그 끝지점에 존재하는 것이 바로 흥미로운 문제입니다.  바로 그 끝지점에 존재하는 최첨단 기술들을 가까이 한다면 여러분은 애써 노력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스타트업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게 될 것입니다.

 Paul Buchheit (미국gmail개발자)이 말한 것처럼 “ 미래에서 사세요 ”.

                                                                                <출처 - tumblr/vimeo>
 

#10  훌륭한 스타트업 아이디어의 조건 3탄 - Just Learn

 여러분이 대학의 본질적인 목적을 위한 전통적인 의미의 교욱을 통해 무언가를 배운다면, 스타트업을 위한 강력한 무언가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진정한 지적 호기심을 갖게 된다면 스스로의 의향에 따라 자연스럽게 스타트업을 시작하게 될 것입니다.

 

 여섯번쨰 반직관적인 요인은 스타트업을 시작하기에 가장 좋은 상태는 호기심을 해결하기 위한 의도로 시작하는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스타트업에 관해 관심 있는 이들에게 해주고 싶은 최후의 조언은 두 단어로 요약되네요.그냥 배우세요.(JUST LEARN)

 
                                                 <출처 - 블로그스팟  peterthorpephotography>



[Before the Startup 전편 보기]
1편 스키와 스타트업의 공통점 - 당신의 직감을 절대 믿지마라 (1/10)
2편 스타트업에서 동료를 만드는 법칙 - 네 멋대로 해라 (2/10)
3편 스타트업에 관한 전문가가 되지 마라 - 젊은 창업자들의 흔한 착각 1탄 (스타트업에서 편법은 없다) (3/10)
4편 스타트업에 관한 전문가가 되지 마라 - 젊은 창업자들의 흔한 착각 2탄 (스타트업에서는 규칙도 없다.) (4/10)
5편 스타트업에 관한 환상 깨기 - 제 2의 Larry Page를 꿈꾸시나요? (5/10)

6편 스타트업을 위해 대학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6/10)

7편  스타트업의 성공, 폴 그레이엄도 장담할 수 없다. (7/10)

8편  훌륭한 스타트업 아이디어의 조건 1탄 - 작위적인 아이디어는 실패한다. (8/10)
9편 훌륭한 스타트업 아이디어의 조건 2탄 - 당신이 흥미로워 하는 것, 그것이면 충분하다. (9/10)

박선영

대한민국 스타트업들의 목소리에 늘 귀기울이겠습니다.
취재 및 기사 관련 문의 sunny.park@demoday.co.kr